http://cafe.naver.com/ineedamerica/1175
미국의 health care 산업은 국가 GDP의 14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거대 시장입니다. 개인적으로 회계학 석사를 공부할 당시 우연히 PWC에서 병원의 원가를 분석한 리포트를 본적이 있는데, 해당 산업의 규모를 보고 이 분야를 좀더 공부해볼걸 하는 후회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몇몇 학교의 MBA 과정에도 healthcare management가 있지만, MHA 과정을 선택함으로서 좀더 specific하게 파고 드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이지만 health Care Industry도 대형화, 전문화가 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따라서 인력 수요도 증가하리라 예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유학을 희망하시는 분들도 너무 한분야 (MBA등...^^)에만 치우치지 말고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국가 경쟁력을 위해서라도요.
물론 치기공이나 간호학 관련 전공들이 현지 취업이 용이하다고 하여 인기이지만, 이제는 그 수요도 많이 줄어들고 베트남등 인건비가 낮은 지역에서도 많이 지원하여 경쟁력이 많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좀더 높은 수준의 공부를 통한 career development가 요청되는 시점이라 생각됩니다.
과정소개 - University of Michigan
Health Administration과 관련하여 가장 유명한 학교중 하나는 역시 미시건 주립대 (Univ. of Michigan)입니다.
이 학교의 대표적인 전공은 두가지로 분류된다고 볼수 있는데, 하나는 MHSA (Master of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다른 하나는 MPH (Master of Public Health) 입니다.
MHSA 과정은 건강 관련 서비스 산업에서 경영, 행정, 기획등의 업무를 주도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미시간의 MHSA 동문들이 병원 및 각종 다양한 의료 및 건강 증진 서비스 기관 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회사, 건강 관리 관련 각종 단체, 컨설팅 회사 및 정부 기관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MPH 과정은 공공 건강 프로그램의 관리 및 공공 건강 정책에 대한 분석으로 공공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MHSA에 비해 좀더 research oriented 되었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연방, 주, 지역내 건강 관련 정부기관이나 국제 건강 기구등에서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업무도 환경 및 직업 등과 관련된 건강정책, 질병 예방 및 관리등에 관한 정책 수립 및 집행, 평가 등의 업무가 될것입니다.
Curriculum
MHSA 및 MPA의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총 60 학점이 요구되며, biostatistics, economics, epidemiology, finance, law, organizational theory, political science등의 과목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하고 포괄적인 접근이 가능합니다.
Degree Requirements
MHSA degree를 취득하기 위한 요건으로 학생들은 Core curriculum 을 완수해야 하며, summer internship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h health care policy 와 management 과정을 들을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elective course를 듣는데 있어 학교내의 다른 대학원 전공의 수강이 가능합니다. 여기에는 Busniess School도 포함이 되어 있네요. (와우!)
또한 학생들이 이전에 들었던 과목이면 면제를 요청할수도 있는데요, 필수 과목인 경우에도 가능할수 있다는 군요. 이것은 학기내에 다양한 과목을 최대한 많이 들음으로서 지식과 경험의 폭을 최대한 넓히라는 학교측의 배려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Internship 기회
모든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기관에서 특별 프로젝트에 동참하며, 일반적으로 미시간 출신의 동문에 의해 코칭을 받게 됩니다.
Health Services Systems | 8 | |
Law | 3 | |
Organizational Theory | 3 | |
Economics I | HMP 660 | 3 |
Economics II | 3 | |
Political Science | 3 | |
Statistics | 4 | |
Quantitative Methods | 3 | |
Epidemiology | EPID 503 | 3 |
Principles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EHS 500 | 2 |
Integrative Capstone Course | 3 | |
TOTAL | 38 |
학생 선발 기준
- 특별한 분야에 강점을 보이면 좋고, 3.0 이상의 학점이 요구됩니다. 물론 상위권의 학생들이 어드미션을 받을 확률이 많습니다. 제 유학원 운영 경험에 비추어 봐도 다른 학교 대비 미시건은 학점이 꽤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입니다.
- GRE 또는 GMAT
- 에세이, 추천서, 경력 (Volunteer경력 포함), 과외활동, 봉사 활동 증명서등을 통한 지원동기의 명확화. (즉 모든 경력이나 에세이에 나타난 지원동기 등이 어드미션 담당자에게 논리적으로 보일수 있도록 잘 연결 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2월1일이 데드라인이나 ,early application을 선호하며, 늦어도 12월 중순까지는 지원을 마무리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학기는 가을학기만 시작합니다.
'유학지원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경영석사 - 유펜 (0) | 2016.06.15 |
---|---|
의료경영석사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0) | 2016.06.15 |
의료경영석사 - 미네소타주립대 (0) | 2016.06.15 |
MS MBA 커리어 상담 (6월) (0) | 2016.06.15 |
GMAT 이냐, GRE 냐.. (0) | 2016.06.07 |